전기용접
전기 용접
[ 電氣鎔接 , electricwelding , Elektroschweissen ]
아크 또는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는 용접법의 일종. 각각의 원리에 의해 아크 용접, 저항 용접이라 부른다. 아크 용접의 대표적인 것은 피복 금속 아크 용접, 서브머지드 마크 용접, 이너트 가스 용접인데 각각의 원리는 그림Ⅰ, Ⅱ, Ⅲ과 같다. 피복 금속 아크 용접은 모재(용접하려고 하는 금속)와 피복용접봉(융제를 도포한 용접봉) 사이에 아크를발생시키고 이 열로 모재의 일부가 용융되며 동시에 용접봉에서 금속이 혼입함으로써 용접부가 형성된다.
융제를 사용하면 아크가 안정되고 용융 금속은 발생
가스나 슬래그로 대기로부터 보호된다. 전원은 교류, 직류 어느 것이나 좋고 설비비도 비교적염가로 널리 채용되고 있다.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은 용접봉이 자동적으로 연속 공급되고 그것과 모재간의 아크 발생으로 용접한다. 용접봉은 융제를 바르지 않고 별도로 콘포지션이라 하는 융제를 공급하고 아크가 이 안에 파묻혀 외계로부터 차단된다. 이 법은 고속도 용접에 적합한데 용접선이 짧은 경우나 비선형에서는 부적당하고 소량씩 다양한 용접을 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다.
이너트 가스 아크 용접은 특수한 토치에 의해 아르곤또는 헬륨등의 비활성 분위기를 만들고 이 중에서 텅스텐 전극 또는 모재와 동질의 금속봉과 모재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킨다. 텅스텐을 전극으로 하는 경우는 헤리아크 용접법(Tig법), 그 이외의 금속봉을 전극으로 하는 것은 시그마 용접법(Mig법)이라고도 부르고 어느 것이나 간편하고 쉬운 방법이다.이 밖에 최근에는 탄산가스 피포(被包) 메탈아크 용접법, 일렉트로슬래그 용접법, 고진공 전자빔 용접법, 플라스마 제트 이용의 용접법 등이 발전하고 있다. 저항 용접은 점용접, 심용접, 플래시버트 용접 등을 포함, 4000~100000A의 대전류를 0.1~20초간 통하는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